Profile Image

First Man

@firstman
161d
maxresdefault.jpg
AI가 인간을 대체하게 될까? AI 2024 총정리, 2025 대예측! ㅣ 아는 만큼 보이는 과학 (박태웅 의장 1부) - YouTube
youtu.be/2CS6xsb9-o0?si=jnhXEJB8YmPLzMwx
AI

AI 시대, 사회 체제의 미래

두 영상은 각각 박태웅 의장과 피터 틸의 시각에서 다가오는 AI 시대의 사회 체제 변화와 그 가능성을 깊이 있게 탐구하고 있음.

박태웅 의장, AI 발전에 따른 사회 변화의 필연성을 역설함

https://youtu.be/2CS6xsb9-o0?si=jnhXEJB8YmPLzMwx

첫 번째 영상에서 박태웅 의장은 AI 기술의 급격한 발전이 기존 사회 체제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함. 이러한 변화의 핵심 동력으로 생산성 증가와 이에 따른 일자리 구조의 변화를 꼽음. AI로 인해 전반적인 생산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면서 기존의 많은 일자리가 소멸하고, AI 활용 능력을 갖춘 소수의 '슈퍼 엘리트'와 그렇지 못한 사람들 간의 일자리 불균형이 심화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함.

그는 과거 산업혁명 시기에도 기술 변화가 일자리 감소와 사회적 불평등을 야기했던 사례를 언급하며, AI 시대에도 유사한 문제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함. 따라서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성 증가에 맞춰 노동 시간을 단축하는 방안, 예를 들어 주 4일제 또는 주 3일제 근무와 같은 새로운 근무 체제의 도입 필요성을 제기함. 또한, AI로 인해 창출되는 부가 소수에게 집중되지 않고 일자리를 모두가 공유하는 사회적 합의와 분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농업 혁명, 산업 혁명 등 역사적으로 기술 혁신이 사회 체제의 변화를 이끌어왔음을 상기시키며 AI 시대 역시 이러한 변화가 불가피함을 역설함.

피터 틸, 변화 속 다양한 가능성과 위험을 제시함

https://youtu.be/J8h0AYXHBbs?si=G-BVPMDdNMWAuM5b

두 번째 영상에서 피터 틸은 AI 시대의 사회 체제 변화에 대한 보다 폭넓고 복합적인 관점을 제시함. 그는 AI 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 즉 의료 기술 발전과 전반적인 풍요 증진의 가능성을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AI가 예측 불가능한 파괴력을 지닌 무기로 사용될 수 있다는 군사적 위험성 등 기술의 양면성에 주목함.

피터 틸은 또한 현재 기술 발전 속도가 과거에 비해 둔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젊은 세대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지적하며 사회적, 경제적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음을 시사함. 나아가 그는 과학 기술 발전이 인류에게 묵시록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핵무기, 생물학 무기, AI 무기와 같은 기술이 인류의 생존을 위협할 수 있음을 언급함.

이러한 위험에 대한 해결책으로 전체주의적인 세계 정부가 등장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며, 이는 자유와 민주주의를 억압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비판함. 그는 혼란을 억제하고 질서를 유지하려는 개념인 '카테콘(Katachon)'을 소개하며, 묵시록적 상황을 피하기 위한 균형점의 중요성을 강조함. 또한, 냉전 종식 이후 기대했던 민주주의 확산과 자유 시장 경제의 발전이 예상과 다르게 흘러가고 있으며, 현재의 국제 질서가 불안정하고 예측 불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지적하며 기존 질서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함.

결론적으로,

박태웅 의장은 AI 기술 발전이 가져올 생산성 혁명과 일자리 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사회 체제 변화의 필연성을 논하며, 이에 대한 사회적, 제도적 대응의 중요성을 강조함. 반면, 피터 틸은 AI를 포함한 기술 발전의 양면성, 둔화된 기술 발전 속도, 그리고 묵시록적 위험에 대한 경고와 함께 다양한 정치적, 사회적 가능성과 위험성을 제시하며 미래 사회의 불확실성을 조명함. 두 영상은 다가오는 AI 시대에 우리가 직면하게 될 근본적인 질문들을 던지며, 미래 사회의 모습을 주체적으로 설계하고 대응하기 위한 깊이 있는 성찰을 촉구하고 있음.


Profile Image